혹시 나도 모르게 잠들어 있는 내 돈이 있을까요?
은행 예·적금, 보험금, 카드포인트 등 오랫동안 찾아가지 않은 돈을 ‘숨은 금융자산’이라고 부르는데요, 그 규모가 무려 18조 원에 달합니다. 😲
최근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가 진행하는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(’25.9.15.~10.31.)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내 자산을 확인하고 환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숨은 금융자산이 무엇인지, 그리고 어떻게 조회할 수 있는지 정리해드릴게요.
숨은 금융자산이란?
숨은 금융자산은 금융소비자가 오랫동안 찾지 않고 방치한 금융자산을 말합니다.
※ 종류별로 나누면:
- 휴면 금융자산
법률상 소멸시효(5년)가 지난 뒤 찾아가지 않은 돈
(예: 휴면예금, 휴면보험금 등) - 장기미거래 금융자산
소멸시효는 지나지 않았지만 3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자산
(예: 미거래 예금, 미청구 보험금 등) - 기타 자산
미사용 카드포인트, 실기주과실, 미수령 주식 및 배당금 등
👉 쉽게 말해, 내가 깜빡하고 안 찾아간 돈들이 다 ‘숨은 금융자산’에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.
숨은 금융자산 조회 방법
숨은 금융자산은 금융감독원 파인(FINE), 금융결제원, 각 금융협회, 보험협회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어요.
아래 표를 참고하면 한눈에 정리됩니다. 👇
조회 대상 | 서비스명 | 조회 범위 |
휴면·장기미거래 금융자산 (통합조회) | 금융결제원 「계좌통합관리서비스」 (payinfo.or.kr) |
- 은행·저축은행·상호금융 예·적금, 신탁, 증권사 투자자예탁금 -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휴면예금·보험금 - 미사용 카드포인트 ※ 100만 원 이하 비활동성 계좌는 잔고이전·해지 가능 |
휴면예금 | 은행연합회 「휴면계좌통합조회」 저축은행중앙회 「휴면예금조회」 새마을금고 「휴면예금·휴면공제금 조회」 서민금융진흥원 「휴면예금찾아줌」 |
- 은행·저축은행·상호금융·우체국 휴면예금 -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휴면예금 |
휴면보험금 | 생명·손해보험협회 「내보험찾아줌」 | - 미청구 보험금(중도·만기 포함) -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휴면보험금 |
휴면성 증권 | 금융투자협회 「휴면성증권계좌 조회」 | - 6개월 이상 거래 없는 10만 원 이하 증권 |
미수령 주식·배당금 | 명의개서대행기관 홈페이지 | - 상속인·주주가 찾아가지 않은 주식 및 배당금 |
실기주과실 | 한국예탁결제원 | - 명의개서가 안 된 주식에서 발생한 배당금 등 |
미사용 카드포인트 | 여신금융협회 「카드포인트 통합조회·계좌입금」 | - 신용·체크카드 포인트 일괄 조회 및 환급 |
👉 모든 서비스는 금융감독원 파인(fine.fss.or.kr) → 「내 계좌 통합조회 및 관리」 또는 「업권별 계좌 조회 및 관리」 메뉴에서 접속 가능합니다.
숨은 금융자산 찾기, 꼭 기억해야 할 점
- 소멸시효 확인
- 휴면예금·보험금은 법적으로 5년이 지나면 청구 권리가 사라질 수 있어요.
- 되도록 빨리 찾아야 합니다.
- 안전한 경로 이용
- 금융감독원, 금융결제원, 각 협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조회하세요.
- 문자·카톡 링크는 피싱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!
- 환급 조건
- 일부 자산은 금액에 따라 온라인 지급 한도가 있어요.
- 고액일 경우 해당 금융기관 방문이 필요합니다.
마무리
숨은 금융자산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숨어 있습니다.
예전에 가입한 적금, 안 찾아간 보험금, 방치된 카드포인트까지 모두 내 소중한 자산이에요.
👉 지금 바로 파인(FINE) 금융소비자정보포털에 접속해 내 계좌를 확인해보세요.
잠든 내 돈을 찾는 순간, 생활에 작지만 확실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💡
📢 오늘이 바로 기회예요. “내 계좌 한눈에 조회”로 숨은 자산이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!
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
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
fine.fss.or.kr
'인포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카드 해외 사용 시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✈️ 출입국 단계별 카드 사용법 (0) | 2025.10.08 |
---|---|
소중한 퇴직연금, 근로자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이유 (0) | 2025.10.07 |
소상공인 배달·택배비 지원사업 2025: 신청부터 혜택까지 한눈에 보기 (0) | 2025.10.07 |
2025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: 최대 50만 원, 어떻게 신청하고 쓸까? (0) | 2025.10.06 |
식약처 발표! ✅ 비만치료제 안전 사용 가이드 (부작용 꼭 확인) (0) | 2025.10.06 |
주차 안심번호 모바(MOVA) 사용법 - 개인정보 지키는 똑똑한 방법! (0) | 2025.10.05 |
대리인과 전세계약,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! - 전세사기 피해예방 ⑧ (0) | 2025.10.05 |
금융감독원 10월 퀴즈 이벤트: 불법금융투자·가상자산 사기 예방하자! (0) | 2025.10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