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매달 10만 원 저축하면 3년 후 최대 1,440만 원?
비슷한 말 들어보셨나요?
근로하는 청년이라면 이 말이 현실이 될 수 있어요.
‘청년내일저축계좌’는 정부가 일하는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대표 제도인데요,
지원대상부터 신청방법, 혜택까지 모두 한눈에 알아보겠습니다.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.
1. 청년내일저축계좌란 무엇인가요?
이 제도는 일하는 저소득 청년이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, 정부가 매월 일정액을 추가 적립해 주는 지원사업입니다. 
예컨대, 월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만원을 추가해 주고, 만기 시 본인 저축금 + 지원금 + 이자를 모두 받을 수 있어요. 
지원 대상과 가입 조건도 명확히 규정되어 있어요.
2. 가입 대상 및 지원 조건
| 구분 | 가입 대상 | 지원 내용 | 
| 차상위 이하 청년 | 연령 만 15세 ~ 만 39세 /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/ 근로소득 월 10만원 이상 | 월 30만원 정부지원 | 
| 차상위 초과 청년 | 연령 만 19세 ~ 만 34세 /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 / 근로소득 월 50만원 초과 ~ 250만원 이하 | 월 10만원 정부지원 | 
👉 조건이 잘 맞는지 복지로 공식사이트에서 ‘모의계산’ 등을 통해 확인하고 신청하면 좋아요.

3. 지원금과 만기 혜택은?
- 가입 후 3년 유지 조건을 충족하면, 본인 적립금 + 정부지원금 + 적금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.
 - 예시: 월 본인 저축 10만원, 정부 지원 10만원일 경우 → 3년 후 약 720만원 + 이자 가능. 차상위 이하의 경우 월 저축 10만원, 정부 지원 30만원으로 약 1,440만원 + 이자 전망됩니다.
 - 또한, 만기 해지자를 위한 금융교육이나 자산운용 지원도 제공되고 있어요.
 
👉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공식사이트에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4. 신청 방법 및 일정
- 신청 기간: 보통 5월 초순부터 약 2~3주간 진행됩니다. (예: 2025년은 5월 2일 ~ 5월 21일)
 - 신청 방법: 온라인 접수(복지로 포털)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가능.
 - 필요 서류: 신분증, 근로·소득 증빙자료, 통장 등 기본 준비 필요.
 
👉 준비 기간이 짧을 수 있으니, 신청 공고가 뜨면 바로 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해요.
5. 유의사항 & 체크 포인트
- 매월 본인 저축금액을 꼭 입금해야 하고, 누락될 경우 해당 월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어요.
 - 가입 이후 실직이나 부득이한 사유 생길 경우 적립 중지 신청도 가능하니 조건 확인 필요해요.
 - 만기 해지 조건(3년 유지 등)을 만족하지 못하면 정부지원금 일부 또는 전부를 환수할 수 있어요.
 
지금 바로 신청 검토해 보세요
일하는 청년이라면,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선택입니다.
👉 우선 복지로 사이트 ‘모의계산’으로 내 조건이 맞는지 확인해 보세요.
👉 다음 신청 기간에 놓치지 않도록 신청 일정과 필요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시면 좋아요.
복지서비스>서비스 찾기>복지서비스 상세(중앙) | 복지로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0060
www.bokjiro.go.kr
'인포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시작! 숙박쿠폰으로 최대 3만 원 할인 받는 법 (0) | 2025.11.04 | 
|---|---|
| 장기 연체 채무자 필독! 새도약기금 대상자 확인부터 신청까지 총정리 (0) | 2025.11.03 | 
| “새도약기금”, 한국판 채무 탕감 기금이 출범했습니다 (0) | 2025.11.03 | 
| 생계비계좌 신청 가이드 | 만드는 법, 절차, 준비서류 한눈에 보기 (0) | 2025.11.02 | 
| 내년 2월부터 ‘생계비계좌’ 도입! 월 250만 원까지 압류 금지 (0) | 2025.11.02 | 
| 미래 건설의 모든 것! 〈2025 스마트건설·안전·AI 엑스포〉 현장 미리보기 (0) | 2025.11.01 | 
| K-패스, 17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400만 명 돌파! (0) | 2025.11.01 | 
| K-패스 이용자라면 주목! 자동차 보험료 할인 특약, 내년 출시 예정 (0) | 2025.10.31 |